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강 후보자는 최근 5년간 51명의 보좌진을 임용했고 같은 기간 46명을 면직했는데 국회에서도 이 정도의 잦은 교체는 이례적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보좌진에게 자택 쓰레기를 버리게 하고 자택의 고장 난 변기를 살피라 했다는 주장도 제기된 상태다. 다만 해당 보좌진들은 증인으로 채택되지 못해 이날 청문회에는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다.
강 후보자측은 여당 여가위원들에게 메시지를 보내 관련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면직된 보좌관에서 중복 인원을 제외하면 46명이 아닌 28명이며, 이는 통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후보자는 집에 오래 전부터 가사 일을 봐주시는 분이 있어 후보자가 직접 할 필요가 없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쌍방울 임원들로부터 쪼개기 후원금을 받고 여태 반환하지 않았다는 의혹과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내 과태료와 종합소득세를 장관 인선 발표 후에야 납부했다는 논란, 정치자금으로 1974만원의 유류비를 사용하고 서울대 환경대학원 등록금 명목으로 400만원을 썼다는 의혹 등에 대해서도 야권의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배우자와 관련한 이해충돌의 문제도 소명이 필요한 지점으로 관측된다.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강 후보자의 배우자는 바이오신약을 개발하는 비상장기업에서 무보수로 일하면서 1주당 행사가격 6640원 상당의 스톡옵션 1만주를 받았는데, 해당 업체는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했는데도 강 후보자가 국회에 제출한 재산신고 목록에 이 같은 내용은 누락됐다. 공직자 윤리법에 따르면 비상장기업 주식과 스톡옵션 모두 신고 대상이다.
아울러 여가부 장관 수장으로서 부처 확대 개편 방안에 대한 청사진과 성평등 및 젠더폭력 정책에 대한 방향성, 과거 정치권에서 발생했던 성비위 사건들에 대한 입장 등도 주요 질의 사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가부는 김현숙 전 장관이 지난해 2월 잼버리 사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뒤 16개월 동안 장관자리가 공석으로 남아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