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직 해병 수사 방해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 2025.6.25/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해병대원 순직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4일 오후 2시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국가안보실 회의 당시 상황을 캐물을 계획이다.
정민영 순직해병특검 특별검사보는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사무실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 특검보는 이른바 'VIP 격노설'이 촉발한 2023년 7월 31일 윤 전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해병대원 순직사건 초동수사 결과 보고 직후 윤 전 대통령이 어떤 반응을 보였고 이후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구체적인 내용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전 비서관은 당시 윤 전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 참석한 사람"이라며 "그날 회의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졌을지 잘 알고 있을 것이고, 그 부분 조사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앞서 특검팀은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을 지난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며 회의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수사 결과 보고를 받고 격노하는 것을 들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와 관련해 정 특검보는 "김 전 차장 진술을 토대로 당시 회의에서 이뤄진 보고 진행 등 구체적인 상황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당시 국가안보실 1차장 산하 경제안보비서관을 지냈던 왕윤종 전 3차장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고, 지난 8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추가 조사 일정도 조율 중이다.
정 특검보는 해병대원 순직사건과 관련해 임 전 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수사를 두고 "물에 빠져 사망할 뻔한 당시 장병도 특검에서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면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관련 의혹, 임 전 사단장 관련 구명 로비 의혹도 동시다발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특검팀은 지난 10일부터 VIP 격노설과 관련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들과 참고인들의 사무실 및 주거지 등 총 20여곳을 압수수색 해 휴대전화 30여대, 컴퓨터 하드디스크 10여개 등 압수물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주요 압수 대상지는 윤 전 대통령·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신범철 전 차관·조태열 전 국가안보실장·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현 국방대학교 총장)·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의 주거지와 사무실,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에 연루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와 송호종 전 청와대 경호부장 자택 등이다.
특검은 압수수색 기간 동안 해병대사령부와 국가안보실, 국방부 국방정책실·대변인실·군사보좌관실·법무관리관실을 압수수색하고 충남 계룡에 있는 육군본부에서 순직 사건 당시 국방부 법무관리관실에서 근무한 현역 장교의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도 진행했다.
정 특검보는 "피의자들이 휴대전화 압수물의 비밀번호 제공을 거부한 경우가 있어 전자정보 획득을 위해 대검찰청에 의뢰해 포렌식 작업을 별도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goldenseagul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