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직 해병 수사 방해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가 2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5.6.25/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해병대원 순직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국방부검찰단에서 경찰에 넘어간 해병대수사단의 초동수사기록을 회수하는 과정에 관여한 대통령실 파견 경찰 고위 간부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순직해병특검팀은 지난 10일 이른바 'VIP(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과 관련해 국방부, 국가안보실 등을 압수수색 하면서 당시 대통령비서실에 행정관으로 파견 근무하던 박 모 총경(당시 경정)에게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휴대전화를 확보했다.
이날 주요 압수수색 대상은 국방부 국방정책실·대변인실·군사보좌관실, 국가안보실,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신범철 전 차관·임기훈 전 안보실 국방비서관(현 국방대학교 총장) 등이다.
박 총경은 해병대원 순직사건 당시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실에 행정관으로 근무하며 대통령실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에서 가교 역할을 한 인물로 지목되고 있다.
그는 지난 2023년 8월 2일 오후 12시 20분쯤 이시원 전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의 지시를 받아 국수본의 이 모 전 강력범죄수사과장에게 해병대수사단이 경북경찰청으로 이첩한 수사기록을 회수하는 문제를 논의한 의혹을 받는다.
이 전 비서관은 임 전 비서관에게 '국수본에서 기록 회수와 관련해 경북청에 말해뒀으니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에게 경북청에 전화가 갈 것'이라고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관리관은 같은 날 오후 1시 42분쯤 임 전 비서관에게 전화를 받아 경북청에서 수사 기록 회수 관련 연락이 올 것이라는 안내를 받았다.
뒤이어 유 전 관리관은 오후 1시 51분 노 모 경북청 수사부장에게 전화해 "경북청에서 '아직 사건을 접수하지 않았다. 회수해 갈 것인가'라고 물었고, 판단하기론 '항명에 따른 무단 이첩이라 회수하겠다'고 했다"는 말을 주고받았다고 밝혔다. 통화 당시에 김동혁 국방부 검찰단장도 유 전 관리관과 함께 있었다고 덧붙였다.
특검팀은 박 총경의 휴대전화 전자정보와 통신기록을 통해 국방부검찰단의 기록회수 과정을 구체화할 전망이다.
앞서 특검팀은 국방부검찰단이 수사 기록을 회수한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에는 노 모 전 경북청 수사부장을, 9일에 이 전 수사과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 전 수사과장은 특검 조사에서 '박 총경이 이 전 비서관을 언급하며 기록 반환을 검토해 보라고 했다'는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goldenseagul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