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관계자들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공무원과 공무직 근로자들이 빗속에 거리로 나서 공무원보수위원회를 향해 공무원 임금을 대폭 인상하라고 촉구했다.
공무원노동조합 등으로 구성된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공투위)는 14일 오후 공무원보수위 2차 전체회의가 열리는 정부서울청사 후문에서 '임금인상 쟁취 결의대회'를 열었다.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200여 명이 참석했다.
공투위는 내년도 공무원 임금을 6.6%, 정액급식비 월 3만 원,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000원 인상 등을 요구했다.
공투위가 주요 요구인 임금인상률 6.6%는 2026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6%와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치 1.8%를 감안하고 공무원보수 민간접근율 100%를 5년간 달성하기 위한 인상 값 3.2%를 합한 수치다. 현재 공무원보수 민간접근율은 83.9%다.
석현정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은 "공무원 노동자는 국민의 곁에서 삶을 지키고 국가를 지탱하는 주축임에도 그들의 삶과 처우에 대해서는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며 "정부가 공무원의 생존권을 무시한다면 공직사회의 이탈과 외면은 가속할 것이고 발생하는 피해는 국민이 받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수영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지역본부 강북지부장은 "업무와 책임은 무한대로 늘고 있는데 월급만 계속 제자리걸음"이라며 "청년 공무원들이 하나둘 짐 싸는 모습을 바라만 봐야 하나. 이미 임계점을 넘었다"며 "더는 사명감으로 일하라는 말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투위는 향후 2026년도 공무원 임금 인상액을 포함한 정부 예산안이 확정될 때까지 대통령실과 정부세종청사 일대에서 소규모 릴레이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이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직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김형 기자
앞서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도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직 근로자(지자체, 공기업 등에 소속돼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우비를 입고 회견에 참석한 공무직 노동자들은 "공무원보수위의 결정은 공무원뿐만 아니라 공무직 40만을 비롯한 공공부문 전체 노동자의 임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이영훈 민주일반연맹 비상대책위원장은 "공공부문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기 위해 우리(공공부문) 인력을 대폭 확충하고 처우를 개선하는 것은 단순히 임금을 인상하는 문제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특히 공무직 노동자들은 여전히 호봉제도 실시되지 않고 있고 여러 수당에서도 차별이 줄어들지 않으면서 (임금)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공무원보수위뿐만 아니라 공무직 노동자들 또한 임금을 논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섭 기구가 마련돼야 한다고"고 전했다.
j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