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서울 중구 비앤디파트너스 서울역점에서 범학계국민검증단이 연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검증 대국민 보고회에서 유원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 150개를 조사했고 표절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한 논문 16편의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논문 관련 의혹을 다섯 가지로 분류했는데 △제자의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제1저자로 학술지에 발표 △제자의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교신저자로 학술지에 발표 △제1저자로 참여한 학술지 논문이 제자의 학위 논문보다 먼저 게재 △제1저자로 참여한 논문의 중복 게재 등이다.
검증단은 ‘제자의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제1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했다는 의혹에 특히 집중했다. 통상 학위논문의 연구주제는 기존 논문에는 발표되지 않았던 주제를 설정하기 때문에 학생 논문을 인용한다면 교수는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릴 수 없는데 이 후보자는 본인을 제1저자로 기재, 학술지에 투고했다는 것이다. 제자의 논문 아이디어를 탈취했다는 주장으로 볼 수 있다. 김승희 광주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학위논문의 핵심은 아이디어”라며 “아직 세상에 나오지 않는 주제를 잡기 때문에 연구 주제는 철저히 학생의 것인데 교수가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는 건 아이디어를 빼앗는 셈”이라고 했다.
검증단이 공개한 논문들의 표절률도 표절 기준선으로 간주되는 20%를 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제자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이 후보자가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논문(건축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문양의 조형요소에 대한 영향 평가)은 표절률이 56%나 됐다.
이 후보자 측은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과 논문 중복 게재 의혹에 관해 대한건축학회·한국색채학회의 입장문으로 반박했다. 대한건축학회는 “학생의 논문은 단순히 개인의 독립적인 연구 성과로 보기 어려우며 참여교수 또는 지도교수의 주제 설정, 연구 방향 제시, 학문적 지도 등 전반적 연구 과정에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색채학회도 이 후보자의 논문을 중복 게재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중복게재 의혹 외에 자녀 불법 조기유학 논란에도 휘말린 상태다. 이 후보자의 차녀는 중학교 3학년인 2007년 미국 유학길에 올랐는데 현행법상 의무교육‘ 규정을 위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후보자 측은 “규정을 위반한 부분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선 “충분히 소명 가능하다”며 인사청문회에서 해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진숙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1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