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8월 6일 ‘청년 공무원 100인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문구를 적은 철밥통을 밟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공노총은 지난 6월 19일 내년도 공무원 임금 6.6% 인상을 비롯해 정액급식비 월 3만 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 5000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를 기준호봉 월급액의 60%로 적용, 정근수당을 현행 지급률 대비 10% 인상, 명절휴가비 지급액 10% 인상 등을 요구했다.
이어 올해 공무원보수위원회(이하 공무원보수위)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전국 동시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지난 6월 30일에는 공무원보수위 1차 전체회의일에 맞춰 1차 간부결의대회를 진행했다.
또한 공노총은 이날 공무원보수위 2차 전체회의일에 맞춰 다시 한번 정부에 공무원 임금인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생존권 위기에 내몰린 공무원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국민에게 호소하고자 2차 간부결의대회를 진행했다.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위원장 석현정, 이하 공노총)은 14일 정부서울청사 일대에서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 소속 조직과 공동으로 ‘공무원 임금인상 쟁취 2차 간부결의대회’를 진행했다. (사진=공노총 제공)
석현정 공노총 위원장은 “공무원은 국민 곁에서 국가를 지탱하는 존재이지만, 오히려 처우는 민간보다 뒤처지고 있다”며 “공무원 사이에선 ‘공노비’라는 자조와 함께, 공직을 빨리 떠나는 것이 승리라는 인식이 팽배하다”고 비판했다.
최근 결정된 2026년도 최저임금은 월 환산 시 약 215만 원(209시간 기준)으로, 올해 일반직 9급 신규 공무원의 월 기본급(약 200만 원)을 웃돈다.
공노총은 향후 국무회의에서 2026년도 예산안이 확정될 때까지 대통령실과 정부세종청사 일대에서 소규모 릴레이 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8월에는 다수의 조합원이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