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국회사무총장 9시간 조사…"계엄 해제 여야 의총 질문"(종합)

사회

뉴스1,

2025년 7월 16일, 오전 01:31

김민기 국회 사무총장이 1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내란특검 사무실에서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7.15/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이 김민기 국회사무총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당시 양당의 상황'에 대해 집중 질문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여당이던 국민의힘이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관련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기 위한 것으로 관측된다. 김 총장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당시 국회 차원에서 대응을 총괄했다.

김 총장은 15일 오후 11시쯤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서 조사를 마치고 취재진과 만나 "주로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하는 본회의장 상황에 대해 질문이 많았다"며 "전체적으로 양당의 의원총회 상황에 관해 물어봤다"고 밝혔다.

이어 "양당에서 어떻게 의총을 하고, 또 (비상계엄 해제 표결 관련) 본회의장에 들어오게 된 경위들에 대한 양당 관련 질문을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답변을 할 수 없었고 하지도 않았다"며 "저는 사무처를 지휘해 양당 의총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의원총회 장소' 관련 질문도 여러 차례 했고 이에 대해 김 총장은 "제가 아는 한 의총 장소는 야당과 교섭단체 간 협의에 의해 정하는 걸로 알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발령 후 5차례 의원총회 소집 공지를 내면서 장소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장과 국민의힘 당사로 계속 바꾸며 혼선을 줘서 의원들의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아울러 특검팀은 박근혜 정부 시절 생산된 기무사 계엄 대비 문건을 보여주며 비상계엄 관련 질문을 한 것으로도 확인됐다.

김 총장은 "당시 정보위원회 간사, 정보위원장을 했었기 때문에 (특검팀은 제가)계엄에 대한 이해도가 있다고 판단해서 그런지 제게 계엄에 대해서 그 문건에 나와 있는 걸 물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회 계엄 해제 상황을 예측하고 준비했느냐'는 특검팀 질문에 "실제 국회 기능 유지를 위해 계엄을 해제하는 것도 국회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5차례 정도 회의를 했고 그 회의 내용에 대해 (우원식) 의장에게 보고하고 회의도 했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날 김 총장에 대한 참고인 조사는 9시간가량 진행됐다. 김 총장은 오후 2시쯤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고검에 도착해 조사를 받았고 오후 8시쯤부터 3시간가량 조서를 열람한 뒤 오후 11시쯤 귀가했다.

출석 길에 그는 취재진에게 "불법 계엄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본 국회의 입장에 대해 소상히 설명해 드리러 왔다"며 "입법부가 비상계엄군 내용을 소상하게 설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ounme@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