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안화력 고(故)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49재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7.1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안전장치 없이 홀로 일하다가 숨진 고(故) 김충현 씨의 49재를 앞두고, 사고 대책위원회가 정부에 진상규명을 위한 조속한 협의체 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태안화력 고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는 17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9재가 다가오도록 제대로 된 진상규명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정부는 김충현의 장례를 치르기 전 대책위에 '고 김충현 사망사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고용·안전 협의체'를 제안했다"며 "그러나 김충현 협의체는 6월 17일 장례 이후 지금까지 구체화되지 않고 있고, 대책위는 협의체의 지연에 대해 정부의 책임을 묻고자 한다"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2018년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사망한 고 김용균 씨의 사망 이후 정부가 설치한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특조위)를 언급하며, "김충현 대책위는 김용균 특조위의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충현 대책위는 2차 하청 노동자까지 직접고용 정규직화하는 권고안 등을 관철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용균 특조위는 2019년 22개의 개선 권고안을 내놨지만, 2차 하청 노동자 직접고용 등의 권고 사항은 정부가 이행하지 않았다.

태안화력 고(故) 김충현 비정규직 노동자 사망사고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49재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7.1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대책위는 "'2차 하청 문제는 나중에'로 미뤄지는 사이, 특조위 이행은 지지부진해졌고, 정권이 바뀌자 중단됐다"며 "김충현의 협의체는 무엇보다 김충현의 동료들, 발전소 2차 하청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하며, 이로부터 서부발전과 한전KPS 두 원청의 책임을 묻고 발전소 폐쇄를 앞둔 하청노동자들의 위태로운 생존에 대한 대책을 우선적으로 마련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충현의 동료들이 일하는 태안발전소의 1, 2호기가 올해 12월이면 폐쇄되고 정부가 협의체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그 시간은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얼마 남지 않는 시간"이라며 "협의체의 지연은 김충현의 동료들에겐 희망고문이 될 것이고, 유가족에게는 기망이며, 대책위에게는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에 대한 불신"이라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이날 오후 6시부터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추모 결의대회 및 퇴근 선전전을 연다.
고 김충현 씨의 49재는 오는 20일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한 달 전인 지난달 16일 빈소를 찾아 "공직에 취임하게 된다면, 최소한 과거 정부에서 합의에 도달했지만 실행되지 않았던 사항에서부터 출발해 앞으로 더 나아가는 방향을 찾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태안화력발전소 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근로자이던 김 씨는 지난달 2일 혼자 작업하다 옷이 회전체에 말려든 뒤 선반 기계에 끼어 숨졌다. 고인이 하던 업무는 선반 취급 작업으로 안전보건공단이 '제조업 사망사고 10대 작업' 중 하나로 꼽을 만큼 위험한 일이었으나 현장을 관리·감시하는 안전관리자는 없었다.
sinjenny9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