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을지로 일대에서 열린 '7·19 민주노총 총파업 총력투쟁 결의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7.1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하며 19일 총파업에 나섰다.
이날 오후 3시쯤 서울 중구 을지로와 종로구 종각역 일대에 모였던 민주노총 조합원들은 본 집회를 위해 을지로입구역 인근으로 집결했다.
조합원들은 "노조법 2·3조 즉각 개정""플랜트건설노동자 실업난 대책 마련"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한목소리로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사회 대개혁 실현하자"라고 외쳤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윤석열이 거부한 노조법은 모든 노동자에게 노조할 권리를 제대로 보장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본의 탐욕을 견제하고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지키며 노동자·서민의 생존을 지킬 수 있도록 노조법 2·3조 개정은 반드시 쟁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그동안 노조법 개정을 통한 △사용자 개념 확대 △쟁의행위를 이유로 한 사용자의 손해배상 청구 제한(노란봉투법) 등을 요구해 왔다. 노조 설립의 권리를 규정한 노조법 2조의 '근로자' 개념을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까지 포괄적으로 확대하고 이들 역시 단결권·단체교섭권 등을 행사할 수 있도록하자는 것이 요지다.
경찰 비공식 추산에 따르면 이날 을지로입구역 인근에는 약 1만 5000여 명이 모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을지로입구역 총파업 결의대회를 마친 뒤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을 거쳐 세종호텔 농성장까지 행진했다.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19일 서울 중구 을지로 일대에서 2025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대행진 집회에서 행진을 하고 있다. 2025.7.19/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이날 본 대회에 앞서 개별 집회를 연 건설산업연맹(전국플랜트건설노조) 5000여 명은 4대 현안 과제를 제시하기도 햇다.
4대 현안 과제에는 △최저임금의 절반 수준인 퇴직공제금 △미흡한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노후설비 관리기준 미비로 인한 안전사고 △대규모 실업난 등이 포함됐다.
이주안 건설산업연맹 플랜트건설노조 위원장은 지난 14일 전남 광양시 소재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발생한 노동자 사망사고를 언급하며 "사고의 가장 주된 이유는 노후 설비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위원장은 "그 배전설비는 30년 동안 단 한 번도 수리되지 않았다"며 "이것이 우리가 기계설비법 개정을 요구하고 투쟁하는 이유다"라고 성토했다.
realkw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