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尹정부 필수의료 재검토' 등 3대 복귀 요구안 확정

사회

이데일리,

2025년 7월 20일, 오전 12:20

[이데일리 이지은 기자]의정 갈등 상황 속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복귀 논의를 앞두고 정부와의 협상 테이블에 올릴 구체적인 요구안을 확정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왼쪽)이 1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대강당에서 열린 전공의협의회 임시대의원 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대전협 비대위)는 19일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의협) 회관에서 임시 대의원 총회를 열고 대정부 3대 요구안을 확정해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요구안은 전체 177명 중 138명이 참석했고 찬성 124명, 반대 8명, 기권 6명으로 가결됐다. 이날 5시에 시작된 총회는 논의가 거듭되면서 11시가 넘어서야 마무리됐다.

구체적으로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기구 설치 등이 담겼다.

한성존 비대위원장(서울아산병원 전공의 대표)을 중심으로 새 정비된 대전협의 이번 대정부 요구안은 지난해 2월 박단 전 대전협 비대위원장 체제에 발표했던 전공의 7대 요구안보다 압축됐다.

당시 대전협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2000명 증원 전면 백지화 △의사 수급 추계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 의료사고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부당한 명령 전면 철회 및 사과 △업무 개시 명령 폐지 등을 요구한 바 있다.

앞서 대전협이 사직전공의를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 약 4명 중 3명(76.4%)이 윤석열 정부의 의료 관련 정책이 재검토돼야만 복귀할 수 있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의 연속성 보장’과 ‘불가항력의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도 높은 비율로 집계됐다.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오늘 토의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비대위는 더욱 책임감 있게 향후 행보에 임할 것”이라며 “상처 입은 젊은 의사들이 다시 중증 핵심 의료를 이어나갈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신뢰를 회복하고 양질의 수련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전공의 단체가 확정안 요구안에 따라 정부와 정치권 등과의 수련 재개를 위한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올해 하반기 모집에서 전공의들이 어떤 노선을 취할 지 구체적인 방안은 담기지 않았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는 18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사직 전공의 복귀와 관련해 “복지부가 수련협의체를 만들어 신속하게 (논의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