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이 주는 건강한 이미지, 화려한 색감 그리고 풍부한 맛은 소비자들에게 높은 만족감을 주고 있으며, 여기에 ‘애플레이션(Apple+Inflation)’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만큼 과일 가격이 급등하면서, 과일을 직접 구매해 섭취하기보다는 디저트나 음료 형태로 소비하는 경향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여름철(6월~8월)에는 수박, 참외, 복숭아, 자두, 포도 등 맛과 영양이 절정에 이르는 제철 과일들이 풍성하다. 대부분 비타민과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며 식이섬유 함량도 높아 일반적으로 건강한 음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일에는 천연 당분인 프럭토스(Fructose)가 함유되어 있어, 과도하게 섭취를 할 경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프럭토스는 단순당의 일종으로 과일이나 채소 등 자연 상태로 섭취할 경우 비타민, 항산화 성분, 식이섬유와 함께 들어 있어 적당량 섭취 시 우수한 식품이지만, 프럭토스는 간에서 주로 대사되며 과잉 섭취 시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에 축적,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포도당처럼 혈당을 즉각적으로 높이진 않지만 지속적인 과잉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지방 축적을 유도해 비만이나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문제는 최근 과일릭 트렌드에서는 생과일만 섭취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과일 주스, 과일 스무디, 과일 빙수, 말린 과일, 과일 아이스크림 등 다양하게 가공된 과일 제품을 통해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과일 본연의 식이섬유나 항산화 성분은 줄고, 당분과 칼로리는 상대적으로 높아져 과잉 섭취할 경우 혈당 스파이크, 지방간, 체중 증가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동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 황혜림 과장(가정의학과 전문의)은 “미디어 발달 및 SNS 영향력 확대로 음식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우리의 식생활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아무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음식이라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건강에 해를 줄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식단과 적정 섭취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조언했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에는 입맛이 떨어지기 쉬워 밥보다 과일이나 디저트류 간식을 더 자주 찾게 되는데, 이럴수록 섭취량과 가공 여부를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라며 “특히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등의 위험이 있는 경우, 여름철 과일 섭취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과일은 가능하면 가공되지 않은 생과일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후 디저트보다는 식사 사이 간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혈당 조절에 더 유리하다.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당 함량이 낮은 과일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과일 주스나 빙수 등 가공 과일 제품은 첨가당·유제품·시럽이 포함돼 혈당과 칼로리를 높일 수 있으므로 주 1~2회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제품 선택 시에는 영양성분표를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클립아트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