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의과대학에서 의대생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의대 총장들이 지난해 2월부터 줄곧 수업을 거부하던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뜻을 모았다. 학생들은 이르면 여름 계절학기, 또는 2학기부터 수업을 듣는다. 강의실로의 복귀는 약 1년 5개월 만이다.
다만 이들보다 앞서 복귀한 의대생들과 형평성 문제는 여전한 뇌관이다. 또 비의대생과 국민이 가진 불만 여론도 교육당국의 고심거리다.
21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지난 17일 긴급 온라인 회의를 열고 의대생 복귀 방안을 결정했다. 지난 7일 이재명 대통령이 김민석 국무총리에게 문제 해결을 주문한 지 열흘 만이다.
다만 각 대학 1학기 수업에 불참해 유급 대상이 된 8000여명에 대해 예정대로 행정처분을 적용하기로 했다. 의대생들의 2학기 복귀는 수용하되, 유급 등 조치는 그대로 한다는 것이다. 제적생 46명에 대한 조치는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본과 4학년은 한 학기 수업을 더 들은 뒤 내년 8월 '코스모스 졸업'을 하게 될 전망이다. 이 경우 해당 학생들은 매년 1월 열리는 의사 국가고시를 응시하기 어려워지는 데, 이를 위해 의총협은 내년 3~4월 중 국가시험을 추가 실행하도록 정부에 요청할 방침이다.
예과 1∼2학년은 내년 3월에 정상적으로 진급하고 본과 1학년은 2029년 2월, 본과 2학년은 2028년 2월에 각각 학부를 졸업하는 스케줄이다. 본과 3학년에 대해선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각 대학은 교육부와 의대 학장들과의 협의를 거쳐 이르면 21일 최종 합의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후엔 학생 복귀를 위한 대학별 학칙 개정에 나선다.
복귀자와의 형평성 문제 '여전'…부정적 여론도 여전

양오봉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공동회장이 지난 4월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17/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그러나 앞서 복귀한 의대생과의 형평성 문제는 향후 지속될 전망이다. 복귀 의대생들은 수업을 거부하던 학생들에게 '감귤'(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은 전공의, 의대생)이라는 비난을 들으며 힘겹게 강의실로 돌아왔다. 또 복귀 후에도 도 넘는 협박과 따돌림을 받아야 했다. 이 때문에 먼저 복귀한 학생들 사이에도 이번 결정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비의대생들도 의총협의 결정을 쉽사리 납득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의총협이 지난 4월 "유급이 확정되면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한 말을 불과 3개월여 만에 뒤집은 셈이어서 불만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 일반대 학생은 "수업을 거부해 온 의대생이 사실상 손해를 보는 게 없지 않냐"고 비판했다.
복귀 특혜 반대 여론도 여전하다. 국회전자청원에는 '의대생·전공의에 대한 복귀 특혜 부여 반대에 관한 청원'이 올라와 지난 17~18일 하루 동안 5500여 명이 청원에 동의했다.
청원인은 "(의료계에)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고 복귀를 허용한다면, 유사한 방식의 반발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가해자와 피해자를 함께 교육·수련하게 둘 경우 복귀한 이들이 심각한 2차 피해를 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의총협도 이런 형평성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24·25·26학번이 몰리는 '트리플링'을 막기 위해선 2학기 복귀가 불가피하다는 게 총장들의 입장이다. 의총협 관계자는 "트리플링이 돼 버리면 의료 교육 자체가 붕괴가 된다는 점을 가장 고려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여론을 고려할 때 유급 처분조차 없이 학사 유연화를 할 수는 없었다"며 "학생들도 (유급 처분으로)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일정 부분 짊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grow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