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발효, 2주 앞으로...트럼프 “의약품·반도체 곧 부과할듯”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6일, 오후 06:13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빠르면 이달 말부터 의약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된다. 반도체(관세 시행 일정)도 비슷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효가 2주 앞(8월1일)으로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펜실베니아에서 백악관으로 돌아가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이르면 이달 말부터 의약품과 반도체 품목 관세를 부과한다”고 말했다. 앞서 예고한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및 구리 50% 품목 관세에 이어 의약품과 반도체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내달부터 대대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재집권 이후 줄곧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언급했다. 미 상무부도 지난 4월부터 이들 수입에 대한 국가 안보 조사에 착수했다.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관세 등 적절한 조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내각회의에서도 의약품과 반도체 관세를 언급했다. 당시 그는 “의약품의 경우 (제약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마련하도록)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주고 200%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8월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지난 7일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5개 경제주체(24개국+유럽연합)에 상호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 내달 1일부터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현재까지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합의를 도출한 국가는 이날 발표한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영국, 베트남 등 3개국이다.

15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트럼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카네기 멜론 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린 제1회 펜실베니아 에너지 및 혁신 서밋에 참석한 후 이곳으로 돌아왔다.(사진=AFP)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무역 협상의 핵심은 무역 상대국의 시장 개방”이라고 강조하면서 “한국은 시장 개방에 응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이 한국에 요구하고 있는 30개월이상된 소고기와 과일, 쌀 등 농축산물 수입 확대를 언급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각국에 보낸 ‘관세 서한’이 바로 협정이지만 대화를 통해 달라질 수 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 시장 개방에 완고한 일본은 “(상호 관세율 25%로 명시한) 서한대로 갈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과 일본 두 나라를 비교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도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한국을 예로 들며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구리까지 품목별 관세를 낮출 수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한국이나 중국, 일본은 자국 제철회사에 전기를 거의 공짜로 공급한다”면서 “이는 일종의 보조금으로, 그렇게 만들어진 철강을 우리한테 덤핑해 팔고, 그 결과 미국 내 철강 회사들이 문을 닫게 됐다”고 주장했다. 미국 철강업계의 오랜 주장을 되풀이한 것이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