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흑연에 반덤핑관세 93.5% 부과…韓배터리社 영향은?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8일, 오후 02:48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미국 상무부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중국산 흑연에 93.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는 예비적 결정을 내렸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해당 제품이 불공정한 보조금을 받아 헐값판매(덤핑)로 미국에 수입된다고 미 당국이 판단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상무부는 이 같은 예비 결정을 내리면서 최종 결정은 12월 5일까지 내려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93.5%의 반덤핑 관세가 확정되면 기존 조치까지 더해져 중국산 흑연에 대한 실질적인 총 관세율은 160%에 달한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흑연 분말(왼쪽)과 니켈·코발트·망간(NCM) 분말.(사진=AFP)
이 같은 조치는 지난해 12월 미국 흑연 생산업체들을 대표하는 ‘미국 활성양극재 생산업체 협회’가 국제무역위원회 등 미 연방 정부 기관들에 중국 기업들이 반덤핑법을 위반하고 있는지 조사를 요청하는 청원을 제출하면서 비롯됐다. 협회 대변인 에릭 올슨은 성명을 통해 “상무부의 이번 판정은 중국이 활성 음극재(AAM)의 주성분인 흑연을 미국 시장에 공정 가격 이하로 판매하고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덤핑 관세는 외국 물품이 정상 가격 이하로 판매돼 자국 산업에 피해를 준다고 판단할때 정상가격과의 차액 범위 내에서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 구제 제도다.

흑연은 배터리 음극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핵심 원재료다. 블룸버그 집계에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은 약 18만 톤의 흑연 제품을 수입했으며, 그 중 약 3분의 2가 중국산이었다.

블룸버그는 이번 반덤핑 조치는 전기차(EV)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긴장을 고조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가 중요 광물 등에 대한 수출 통제 시행하고 있는 데다 트럼프 대통령은 청정에너지 성장을 억제하려는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 조치가 확정되면 미 전기차업체인 테슬라와 테슬라의 주요 배터리 공급업체인 일본 파나소닉은 물론 미국 미시간과 조지아에서 배터리 생산 공장을 운영하는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온 등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생산비용이 대폭 올라가는 등 타격이 예상된다.

테슬라와 파나소닉은 이번 조치를 막기 위해 움직이는 회사들로, 이들은 미국 내 흑연 관련 산업이 테슬라가 요구하는 품질 기준과 공급량을 충족할 정도로 충분히 발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산 흑연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컨설팅회사 CRU 그룹의 배터리 소재 책임자 샘 애덤은 “이번 관세는 배터리 제조업체들에 타격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총 160%의 관세는 평균적인 전기차 배터리 셀에 킬로와트시(kWh)당 약 7달러의 추가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추산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서 시작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예산안에서도 유지된 배터리 제조 세액공제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그는 “이런 조치는 한국 배터리 업체들에겐 1~2개 분기의 전체 이익을 사실상 없애버리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다만 LG에너지솔루션은 “핵심 원재료 관련해 공급망 다변화를 꾸준히 진행해왔기 때문에 직접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앞으로도 권역별 원재료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