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EU 제품에 최소 15~20% 관세 요구…車관세 인하도 거부”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9일, 오전 04:02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과의 무역 협상에서 EU산 모든 제품에 최소 15~20%의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EU와의 협상에서 대부분 품목에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는 내용의 합의안을 논의해왔으나, 이를 상회하는 수준의 관세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제안한 자동차 부문 관세 인하 방안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고, 기존 계획대로 25%의 고율 관세를 유지하길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로슈 셰프초비치 EU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지난주 워싱턴D.C. 방문 이후 EU 대사단에 협상 경과를 보고하며, 협상 분위기가 부정적이라고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FT에 “설령 협상이 타결되더라도, 10%를 넘어서는 상호관세율이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EU는 오는 8월 1일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20%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으나, 내부적으로 보복 조치에 대한 이견이 있어 10% 이상의 관세를 수용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EU의 한 고위 외교관은 FT에 “트럼프 대통령이 15~20%의 영구적 상호관세를 고집할 경우, 이는 4월 협상 개시 시점과 동일한 수준이며, EU 측은 이에 대해 보복 조치를 강하게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우리는 무역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미국이 선택지를 주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대부분의 무역 상대국에 ‘상호주의 관세’를 부과해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으나, 이후 이를 90일간 유예기간을 두며 기본관세 10%로 낮춘 바 있다. 이후 미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일본·한국·브라질 등 주요 경제국에 대한 추가 관세 위협에도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달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소폭 상승에 힘입어 정책을 유지하는 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EU는 그동안 보복 관세 패키지를 여러 차례 마련해왔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8월 1일 협상 시한에 맞춰 시행 시점을 유보하고 있다. EU가 준비한 1차 보복 조치에는 치킨·청바지 등 연간 21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포함돼 있으며, 이 조치는 8월 6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또한 보잉 항공기, 버번위스키 등 720억 유로 규모의 미국 제품에 대한 추가 조치와 더불어, 디지털 서비스 및 온라인 광고 매출에 부과할 수 있는 제3의 대응 리스트도 마련 중이다.

한편 미국의 고율 관세는 연간 EU 전체 수출액(5323억 유로) 중 3800억 유로 규모에 해당하며, 미국은 EU의 최대 단일 수출시장으로 전체 수출의 5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