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7.13/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인적 쇄신'을 적극 밀어붙일 것으로 전망되던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한풀 꺾인 것을 두고 당내 거센 반발에 부딪힌 것이란 반응이 13일 나온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3호 혁신안으로 구체적인 인적 쇄신 대상·기준을 발표하기보다 윤석열 정부에서 국민의힘이 저지른 실수를 나열하고 관련자들의 자체적인 사과를 요구했는데, 실효성이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날 오후 윤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제일 질문을 많이 받는 게 뭐냐면 인적 쇄신의 대상과 범위, 그리고 방식이 뭔지다. 저는 인적 쇄신이 우리 당의 혁신에서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도대체 (인적 쇄신) 범위가 무엇인가. 그 범위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저의 고민을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이후 그는 윤석열 정부에서 '당원들을 절망하고 수치심 느끼게 한 사건' 8가지를 나열했다. 화두로 던졌던 구체적인 인적 쇄신 리스트를 공개하기보다 "탄핵의 바다를 건너지 못하도록 막고 있는 분들이 '반성 0순위'가 돼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당초 이날 야권에서는 혁신위 안건이었던 '인적 청산'과 관련한 내용이 발표될 것으로 이목을 모았다.
일부 당권 주자를 비롯한 당 안팎에서 인적 쇄신 주장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점을 고려해 당 쇠락의 책임자는 출당 내지 차기 총선 불출마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논의를 지속해왔다.
혁신위가 결과적으로 이날 3차 쇄신안 발표를 유보한 배경으로는 당내 강력한 반발이 꼽힌다.
지난 10일 혁신위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단절'을 내세운 1호 혁신안을, 11일에는 '최고위원회 폐지 후 단일지도체제로 전환'을 제안한 2호 혁신안을 발표하며 속도전에 주력했다.
이틀 뒤인 이날은 3호 혁신안으로 당원 민심에 부합하는 인적 쇄신안을 발표할 것이라 예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당일이 되어서는 급브레이크를 밟은 것이다.
혁신위는 '혁신위가 인적 쇄신의 칼자루를 쥘 권한이 있냐'는 당내 중진들의 거센 항의와, 당 지도체제 개편에 불만을 제기하는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여론을 고려해 3호 혁신안 발표 대신 한발 물러선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위 내에서 인적 쇄신 우선순위를 두고 합의점을 찾지 못한 점 또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위원들은 "위원장이 설명한 것 이상은 제 개인적 해석이 될 것 같다"며 말을 아끼는 상태다.
이에 쇄신안 마련 과정에서 당 지도부와 적극적인 교감이 없이도 일부 불만을 '당원 투표'로 잠재우려던 혁신위의 행보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뉴스1에 "누군가에게 단죄의 키를 준다는 것 자체가 무리수 아니었겠나"라며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어설프게 출범하려고 했던 지도부도 일부 실책이 있다"고 했다.
sos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