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강선우 임명 강행할까…李대통령 결단만 남았다

정치

뉴스1,

2025년 7월 20일, 오전 11:10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왼쪽)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논문 표절,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뭇매를 맞고 있는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후보자의 거취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그간 대통령실과 여당 지도부 내에서는 '임명 강행' 기류가 강했는데 여권 내에서 두 후보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면서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2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정무수석실로부터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결과를 보고 받고 후속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국회는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이 대통령이 지명한 16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와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는 채택돼 이 대통령이 임명안을 재가했다.

나머지 10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두고 여야가 대립하고 있는데 특히 이진숙 후보자와 강선우 후보자는 여권 내에서도 비판을 받고 있어 이날 이 대통령은 이들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놓고 여론을 들여다볼 것으로 전망된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지난 18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에 대해 "여론이 가라앉지 않는 장관 후보자도 있는 게 현실"이라며 "좋은 여론도 있고 사퇴하라는 여론도 있는 것을 여과 없이 (이 대통령에게) 보고를 드리고 있다. 어떤 결정을 내리든 이 대통령이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여권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리지만 대통령실과 민주당 지도부에서는 임명을 강행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같은 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 의견은 일관된다. (각) 상임위에서 통보한 내용 중 특별하게 (후보자들이) 결격에 이를 문제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도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강 후보자의 경우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시한(19일)이 지났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을 국민의힘이 맡고 있는 만큼 이 대통령이 10일 이내 기간을 정해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고 기한 내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으면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 교육위원회는 위원장을 민주당이 맡고 있어 청문보고서 단독 채택이 점쳐진다.

다만 여권 내에서도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강득구 민주당 의원은 전날(19일) 이 후보자에 대해 "연구 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 결격 사유"라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김상욱 민주당 의원도 이 후보자가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는 메시지를 낸 바 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옹호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국민 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는 의견도 상당하다.

최수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두 후보자에 대해 "온갖 논란에도 버티기로 일관하고 있는 이진숙·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임계치를 넘어서고 있다"며 "이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인사 실패를 솔직히 인정하고, 후보자를 원점 재검토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이자 겸손한 자세임을 명심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hanantway@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