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결정은 이 대통령이 직접 여야 원내대표와 연쇄 회동을 하고, 참모진의 의견을 들은 뒤 내린 조치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전날(19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차례로 만나 장관 후보자 거취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우 수석은 “고심에 고심을 거듭한 결과”라며 “국회는 인사권자의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절차를 진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자 논문 표절, 부실 연구비 집행 등의 의혹을 받았다. 야권뿐만 아니라 여당 내에서도 부정적 기류가 확산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 학계 인사들까지 반대 성명을 냈다.
반면 이 대통령은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하지 않았다. 보좌진에 부당한 업무를 시킨 ‘갑질’ 논란 등으로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민주당 내 보좌진들로부터도 비판을 받았다. 이 같은 논란에도 이 대통령은 강 후보자의 임명을 강행하는 쪽을 선택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강 후보자의 정치 생명을 고려한 선택 같다”고 분석했다.
다만 우 수석은 ‘현역 의원 프리미엄’과는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우 수석은 “국회의원 신분 여부는 고려 대상이 아니다”며 “청문회에서 제기된 의혹, 해명 과정,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대통령이 판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수석은 “현재까지 지명이 철회된 후보자는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한 명뿐”이라며,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 임명을 강행할 것임을 재확인했다.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 요청 여부에 대해 우 수석은 “구체적인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 후보자에 대한 지명 철회가 내부 검증 실패를 의미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우 수석은 “후보자 개인의 명예도 고려해야 한다”며 “청문회에서 제기된 문제, 해명,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진숙 후보자의 후임을 곧 물색하겠다는 방침이다. 우 수석은 “향후 절차에 따라 적임자를 찾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