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SGI서울보증)
이명순 SGI서울보증 대표이사는 “회사와 고객의 신뢰를 지키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하고 있다”며 “시스템 정상화는 물론 앞으로 재발 방지를 위한 보안 체계 강화를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SGI서울보증은 비상대응본부를 구성해 원인 분석과 피해 범위 확인에 착수했다. 동시에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서비스 장애 원인이 언제 파악할지 아직 가늠할 수 없는 단계”라며 “로그 기록 등을 숨기면 예상보다 원인 파악이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은 이번 시스템 장애를 시간과의 싸움으로 보고 있다. 단시간 내에 시스템을 복구하지 못하면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SGI서울보증의 사업 구조 때문이다. 금융권은 SGI서울보증이 발급하는 보증서를 기반으로 대출을 진행한다.
이런 탓에 SGI서울보증의 시스템 장애는 전세대출은 물론 주택담보대출도 모기지보험인 MCI 가입 불가로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자동차구입자금대출이나 서민금융대출인 사잇돌대출도 이용이 불가능하다. 특히 SGI서울보증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와 함께 3대 전세대출 보증기관 중 하나로 국내 전세대출 보증 시장에서 25% 안팎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소비자 피해는 벌써 확인되고 있다. 시중은행 창구에는 전세대출을 실행하지 못하면서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잔금대출도 이뤄지지 않아 입주를 미뤄야 하는 상황에다 보증서 확인이 불가능해지면서 이자 상환도 애를 먹고 있다.
소비자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서울보증은 이날 오후부터 신규 보증대출에 대해 은행서 수기로 신청을 받기로 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우선 신규 보증대출과 관련해 수기로 신청을 받아 대출을 실행한 뒤 차후에 보증서를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SGI서울보증이 피해 구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부회장은 “보증서를 담보로 하는 전·월세대출이 중단되면서 금융소비자의 연쇄 피해와 대규모 피해가 우려된다”며 “전세 임차인은 잔금을 치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임대인 역시 잔금을 치러야 하는 상황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귀책사유가 있는 SGI서울보증이 관련 피해 접수를 신속히 진행하는 등 피해 구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서울보증이 데이터 백업 센터 등 전산 이중화를 마친 상황임을 고려하면 시스템 장애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