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 인천GDC 도입

경제

이데일리,

2025년 7월 17일, 오후 07:01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CJ대한통운(000120)은 박스를 자동 분류해 파렛트에 쌓는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인천GDC에 도입했다고 17일 밝혔다.

사진=CJ대한통운
인천GDC는 아시아태평양 8개국 소비자들의 주문을 처리하는 글로벌 허브 물류센터다. 주문에 맞춰 상품을 포장 뒤 항공편에 실어 보내는 구조다.

이를 위해선 포장 완료된 박스를 크기와 도착지별로 나눠 파렛트에 적재하는 ‘팔레타이징’ 작업이 필요한데, 반복 동작이 많은데다 신체적 부담이 가중되는 업무로 꼽혀 왔다.

이에 CJ대한통운은 이동형 로봇 팔레타이저를 도입해 작업자 피로도를 낮추는 동시에 생산성도 향상시켰다. 로봇은 인공지능(AI) 비전으로 박스 크기를 실시간 인식, 각기 다른 도착지로 가는 여러 크기의 다양한 박스들을 자동 분류 및 적재한다.

기존 고정형 팔레타이저와 달리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구조여서 최대 4개의 파렛트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현재 인천GDC에서는 1대의 장비가 2개 도시로 가는 출고 작업을 동시에 수행 중이다.

또한 바닥 고정장치 없이 설비를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 설치와 이동의 유연성을 크게 개선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장비에 자체 특허를 보유한 ‘로터리 구조 자동 버퍼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에서 오는 박스의 크기와 적재 가능 여부를 AI가 판단해 적합하지 않은 박스를 버퍼 공간에 임시로 놓아뒀다가 가장 효율적인 순서에 따라 자동 적재하는 방식이다.

버퍼 기능을 활용하여 박스의 투입 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율을 극대화했다. 일반 버퍼 시스템이 넓은 공간과 복잡한 비전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반면, CJ대한통운은 회전형 구조를 적용해 공간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끌어올렸다.

구성용 CJ대한통운 자동화개발담당은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과 함께 물류 현장도 점점 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만큼, 이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국내외 다양한 물류 현장에서 검증된 자동화 기술과 시스템을 바탕으로, 현재 사우디에서 건설 중인 GDC에도 초격차 기술역량을 적극 이식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